대한민국은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대통령 중심제로 운영되어 왔습니다. 이 글에서는 역대 대통령들의 주요 이력과 통치 시기를 정리해 보겠습니다.
📌 1대 ~ 3대: 이승만 대통령 (1948~1960)
- 출신 정당: 자유당
- 주요 특징: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. 4선까지 재임했으며, 1960년 4·19 혁명으로 하야.
- 논란: 3.15 부정선거, 장기 집권 시도
📌 4대: 윤보선 대통령 (1960~1962)
- 출신 정당: 민주당
- 주요 특징: 내각책임제 하에서 선출된 대통령. 실권은 총리에 있음.
- 하야 이유: 1961년 5·16 군사정변 발생
📌 5대 ~ 9대: 박정희 대통령 (1963~1979)
- 출신 정당: 공화당, 민주공화당
- 주요 특징: 경제개발 5개년 계획, 산업화 추진
- 논란: 유신헌법, 장기집권, 인권 탄압
- 최후: 1979년 중앙정보부장에 의해 피살
📌 10대: 최규하 대통령 (1979~1980)
- 출신 정당: 무소속
- 주요 특징: 과도정부 성격, 12.12 군사반란으로 실권 약화
- 사임: 전두환의 집권 시도 속 하야
📌 11대 ~ 12대: 전두환 대통령 (1980~1988)
- 출신 정당: 민주정의당
- 주요 특징: 5·18 광주민주화운동, 삼청교육대
- 논란: 군사 쿠데타, 시민 탄압
- 퇴임 후: 1997년 반란 및 내란죄 유죄 판결
📌 13대: 노태우 대통령 (1988~1993)
- 출신 정당: 민주정의당
- 주요 특징: 서울 올림픽(1988), 북방 외교
- 퇴임 후: 비자금 사건 유죄 판결
📌 14대: 김영삼 대통령 (1993~1998)
- 출신 정당: 민주자유당 → 신한국당
- 주요 특징: 문민정부 출범, 금융실명제
- 한계: IMF 외환위기 발생
📌 15대: 김대중 대통령 (1998~2003)
- 출신 정당: 새정치국민회의 → 새천년민주당
- 주요 특징: IMF 극복, 남북정상회담(2000)
- 수상: 노벨 평화상 수상 (2000년)
📌 16대: 노무현 대통령 (2003~2008)
- 출신 정당: 열린우리당
- 주요 특징: 지역주의 타파, 권위주의 타파, 인터넷 소통 강화
- 논란: 탄핵 소추(헌재 기각), 서거 후 국민적 추모
📌 17대: 이명박 대통령 (2008~2013)
- 출신 정당: 한나라당 → 새누리당
- 주요 특징: 4대강 정비사업, 자원외교 추진
- 논란: 공기업 민영화 논란, 국정원 여론조작
📌 18대: 박근혜 대통령 (2013~2017)
- 출신 정당: 새누리당
- 주요 특징: 대한민국 최초 여성 대통령
- 논란: 국정농단 사건으로 탄핵, 헌재 인용 → 파면
📌 19대: 문재인 대통령 (2017~2022)
- 출신 정당: 더불어민주당
- 주요 특징: 촛불정부, 남북정상회담(2018)
- 이슈: 부동산 정책, 코로나19 대응
📌 20대: 윤석열 대통령 (2022~2025)
- 출신 정당: 국민의힘
- 주요 특징: 검찰총장 출신, 정권교체
- 진행 중 이슈: 외교, 물가, 노동시장 개혁
✅ 마무리
대한민국의 대통령제는 시대마다 다른 리더십을 보여주었습니다. 각각의 대통령은 긍정적 성과와 논란을 함께 남겼으며, 이는 우리가 더 나은 선택을 하기 위한 소중한 역사입니다.
반응형